[Spring] 스프링 HTTP API 요청 & 응답 시 역직렬화 직렬화 원리
·
Spring
🎯 0. 역직렬화 & 직렬화란? 이론적인 직렬화, 역직렬화는 다음과 같다. * 직렬화 : 메모리를 디스크에 저장하거나,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 * 역직렬화 : 디스크에 저장한 데이터를 읽거나, 네트워크 통신으로 받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쓸 수 있도록 변환하는 것 일반적으로 스프링 HTTP 요청 / 응답 과정에서의 직렬화, 역직렬화를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. * 직렬화 : 자바 객체를 Byte, CSV, JSON, XML 등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다양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! 주로 자바 객체 -> JSON을 사용한다. * 역직렬화 : 네트워크 통신으로 받은 Byte, CSV, JSON, XML 등 다양한 포맷을 자바 객체로 변환하는 것! 주로 JSON -> 자바 객체를 사용한다...
[Spring] @ResponseBody VS ResponseEntity<T> : 무엇을 사용할까?
·
Spring/기타
🎯 1. Spring HTTP 응답 메시지 바디에 메시지를 설정하는 방법 HTTP 응답 메시지 바디에 메시지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2가지가 존재한다. 반환 시 ResponseEntity 사용 @ResponseBody + 반환 객체 사용 1. ResponseEntity 예제 @PostMapping("/plays") public ResponseEntity registerRaceResult(@RequestBody final GameInfoRequest gameInfoRequest) { ... } 2. @ResponseBody + 반환 객체 사용 예제 @PostMapping("/plays") @ResponseBody public RaceResultResponse registerRaceResult(@Re..
BE_성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