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troller와 Service 레이어 간 요청 & 응답 Dto 사용에 관하여
·
아키텍쳐
🌈 0. 들어가기 전 이번에 Controller와 Service 레이어에서 Dto를 주고받는 과정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. 이전에는 관성적으로 Controller와 Service 간의 요청, 응답 Dto 각각 하나로 관리했었다. 이때, Layered Architecture와 유지보수성의 관점에서 두 레이어 간의 Dto 사용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. Web 요청 & 응답 시에 Controller와 Service 간의 Dto 사용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기록하고자 한다. 🎯 1. Web 응답 : Service에서 Response Dto 생성 후 Controller에서 반환? 일반적으로, Web 응답에 Service가 Response Dto를 Controller에 반환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. ✅ Se..
[아키텍쳐] Service, Repository가 왜 필요할까?
·
아키텍쳐
🎯 0. 주제 선정 이유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자연스럽게 Controller, Service, Repository, Dao를 나누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. Controller는 HTTP 요청 및 응답을 처리하는 가장 앞 단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존재해야했고 Dao는 DB와 연결해서 데이터를 영속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자연스러워보였다. 하지만, Service와 Repository는 왜 필요한지 이유를 정확히 알지 않고 관성적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다. 그래서 Layered Architecture를 공부한 지금, 왜 Service, Repository가 필요한지 내 생각을 정리해보려고 한다. 우테코 미션에서 경험해보면서 생긴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겠다! (주관적인 내용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다..
BE_성하